|
| 1 | +## [1] 클라우드 서비스의 필요성 |
| 2 | + |
| 3 |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서버를 구매하고, |
| 4 | +서버를 물리적으로 구축해야 했습니다. '물리적으로 구축한다'는 말은 |
| 5 |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서버용 컴퓨터를 구매해 설치하고, 컴퓨터에 운영 |
| 6 | +체제와 함께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세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서버를 |
| 7 | +구축하고 나면, 이제는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인력이 필요합니다. 서버 |
| 8 |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정말 다양합니다. 가장 심각한 경우는 서버 컴퓨터 |
| 9 | +자체가 고장나거나 서버가 위치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상황 등이 |
| 10 | +있습니다. 이외에도 서버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하드웨어를 업그레이드하거나 |
| 11 | +서버의 운영 체제 또는 프로그램의 버전을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경우도 |
| 12 | +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서버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자주 |
| 13 | +업데이트하게 되는데, 이럴 때마다 운영 체제와의 충돌 또는 다른 |
| 14 | +라이브러리나 프로그램과의 충돌 때문에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
| 15 | +소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16 | + |
| 17 | +물리적인 서버의 가장 결정적인 문제는 바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
| 18 | +컴퓨팅 자원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서버를 구성하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
| 19 | +예를 들어, 서비스 초기에는 보통 성능의 서버 컴퓨터 1대로도 서비스를 |
| 20 |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었지만 서비스가 발전하고 고객이 늘어나면서 서버를 |
| 21 | +증설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필요한 서버의 성능을 정확히 |
| 22 | +예측하기 힘들고 때로는 구축한 서버의 성능보다 적은 규모의 연산량만 |
| 23 | +필요하게 되어서 자원을 낭비하게 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물리적인 |
| 24 | +서버를 사용해 웹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 그리고 |
| 25 | +노력이 필요합니다. |
| 26 | + |
| 27 |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클라우드 |
| 28 | +서비스는 물리적인 서버를 구매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인터넷을 |
| 29 | +통해 가상의 컴퓨터, 즉 가상 서버를 대여하는 방식입니다. 몇 번의 |
| 30 | +클릭만으로 전 세계 어디에든 서버를 바로 구축할 수 있고, 언제든 서버를 |
| 31 | +늘리고 줄일 수 있어 웹 서비스 개발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 32 | +이처럼 가상의 서버를 제공하는 업체를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라고 |
| 33 | +합니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서버를 구매하고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
| 34 | +있고, 가상 서버들이 동작하는 실제 물리적 서버의 관리는 클라우드 서비스 |
| 35 | +제공 업체에서 전담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
| 36 | +장점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 37 | + |
| 38 | + |
0 commi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