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포크라테스: 인체의 담즙 등 4가지 체액 존재 주장, 정신장애 분류 시도
- 갈렌 : 4가지 유형의 기질
유형 | 특징 |
---|---|
다혈형 | 피가 과다, 활동적, 정력적, 자신감에 차있음 |
우울형 | 검은 답즙이 과다, 우울하며 슬픔에 잠겨있음 |
담즙형 | 갈색 담즙이 과다, 쉽게 화를 내고 폭력적인 경향 |
점액형 | 점액이 과다, 무기력하고 비정서적인 경향 |
- 생애기록, 생애역사자료: 학교성적, 과거 범죄기록
- 정확한 기록만 남아있다면 대단히 객관적이고 중요 정보제공
- 부모, 교사, 배우자, 동료 등 관찰자 평정으로 구성
- 장점: 자연상황에서 자료를 얻음
- 단점: 관찰자의 주관적 평정에 의존 -> 신뢰도 문제
- 두 명 이상의 관찰자 평정을 받아 상관을 구한뒤 신뢰도 보고
- 실험적 절차나 표준화된 검사에서 얻어짐
- ex) 투사 검사들, 낯선상황 실험 등
- 장점: 표준화된 상황에서 객관적으로 자료를 얻음
- 단점: 인위적 상황과 한정된 피험자 표집이 한계
- 응답자가 자기에 대해 보고
- 성격평가에서 가장 보편적 자료
- MMPI, NEO-PI
- 장점: 많은 수의 피험자에게 쉽게 데이터 얻음
- 단점: 피험자가 정확히 반응할 것이라는 가정에 의존
- 수검자의 점수는 큰 변화 없이 반복적으로 얻어져야 함
- 점수 의미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함
- 이를 기반으로 수검자의 행동, 구성개념, 다른 변인들에 대해 추론 가능해야 함
- Generalizability across time, items, raters
- 한 검사 문항이 동일한 속성을 측정하는 정도 반영
- 반분신뢰도
- 크론바흐 알파: 0.6 이상이어야 유의미
- 검사의 점수들이 시간에 걸쳐 일관성 보이는 정도를 측정
- 검사-재검사 산뢰도: 동형검사 신뢰도
- 채점과정에 주관성이 많이 개입될 경우 사용
- ex) 로샤: 그림 성격검사, TAT, 행동관찰연구
- Extent to which test measures what it is supposed to measure
-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 충분조건 X
- 다양한 접근 요구, 양적 접근 불가능한 경우 많음
- 타당도 확보가 더 어렵지만, 더 중요
- 측정도구가 해당 내용영역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됨
- 주로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는 타당도
- 외관 타당도, 안면타당도(face validity)라고도 함
- 검사 점수가 현재 존재하는 준거의 측정치와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의해 결정됨
- 기존의 검사를 준거로 사용하기도 함
- 타당도가 잘 확립된 기존 검사를 바탕으로 단축형 검사나 편 의검사를 새로 만들었을 때, 새 검사의 타당도를 확립하는 방 법으로 자주 사용됨
- 미래에 나타날 행동이나 현상을 정확하게 예언하는 정도
- 특수 교육, 과제, 직업에 적합한 사람들 선발 하는 경우에 사용
- ex) 소방공무원 선발,
- 성격검사에서 가장 중요한 타당도, 그 도구가 특정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정도를 지칭
- 심리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도구가 효과적으로 측정하는지 바련하는 일련의 절차로 구성
- 검사 내용의 적합성을 전문가에 인정
- 검사 문항들의 요인분석
- 수렴타당도 및 변별타당도
- 여러 검사상황에 걸쳐 일관성 있게 나타나는 개인의 특성
- 진실보다 바람직하다고 간주되는 방향으로 응답하는 경향
- 사회적 바랍직성 반응 성향이 높은 사람을 판별하여 배제
- 사회적 바람직성의 정도가 유사한 문항들을 짝지어 선택
- 지시문에서 정직 한 반응을 강조
- 예 반응 경향성, 중앙반응 경향성, 극단반응 경향성
- 영향 미미, 대처가 단순
우리가 일반적으로 인간의 심리가 알고싶ㅇ르떄 하는게 일반성격검사 기말공부를 할때 어떤 검사가 잇는지 낼 수 있죠 NEO-PI가 일반성격검사이다 인것 정도는 알아야돼요
학문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검사
1~5, 180개
O: 경험에 대한 개방성 ex)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다
C: 성실성
E: 외향성, 가장 겉으로 잘 드러남, 서양이 외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
A: 우호성,
N: 신경증, 부정적인 특성
하버드 70년대 그해 입학한 신입생 대상으로 성격 5요인 검사 건강, 가족관계 등 사회심리적 특성 조사 어떤 미래 가지는지 추적연구 사회적인 성공, 관계에서의 성공을 예인할 수 있을까 성실성만 연관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미래에 성공한 학생들 중 공통적으로 성실성이 굉장히 높았다 (아 난 불성실해서 안될듯 ㅋㅋㅋㅋㅋㅋㅋ) 최대한 성실해지기 위해 노오력 할 수 있다
E,N,P 성인 90, 아동 18 T/F 검사 외/내향성, 신경승성향,정신병성향 차원 측정
가장 대중화 된 성격검사 타당화를 제대로 거치지 못 한 검사 융의 심리 유형론을 근거로 일반인들도 쉽게 해볼 수 있는 용도로 학문에선 잘 안쓰임
인지능력 지능검사 IQ 검사 언어성 검사 6개 동작성 검사 5개 각각에 뭐기 있ㄴ느진 알필요 없다 언어IQ, 수행IQ, 전체IQ 정도로 나눠저 있다는거만 알면 되요
정서 표현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모호함을 측정 AEQ가 높을수록 행복, 주관적 안정감이 낮음
정적 감정과 부적 감정을 평가 약한 수준으로 연관이 있다
낙관주의 측정
사회적 바람직성 측정 그런 방향으로 반응하려는 성향 측정 바람직하지만 드문 행동과 바랍직하지는 않지만 아주 보편적 행동들로 구성
감각추구 성향 새로운 경험에 대한 욕망과 위험을 택하려는 의욕
남성성, 여성성 같은 것을 측정 양성성, 알 수 없음
다면적 인성검사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객관적 성격검사 550 문항, T/F
우울증 확인 우울증과 불안 구별
90개 자기보고 증상문항
검사를 할 때 응답자의 대답에 심리상태가 투사되어있다고 생각 점수를 통해 피드백을 하지 않고 주관적인 대답을 해석
문장, 이야기가 미완성된 것을 완성시킴
-
DAP (Draw a Person Test)
- 사람을 한명 그림, 두번째 그림엔 반대 성 그림
- 그린 사람에 대한 특징을 물어봄
-
HTP (House Tree Person Technique)
- 각 그림에 대해 질문
- 집: 가정, 가족
- 나무: 스스로에 대한 무의식적 감정
- 사람: 자기 자신을 나타내고, 위치나 모습 등이 자기와 환경에 대한 의식적 견해
-
Rorschach Ink Blot Test
- 대표적인 투사검사
- 데칼코마니 형식의 대칭형 잉크 얼룩
- 10장 카드: 흑백 5장, 부분유채 2장, 유채 3장
- 1974 Exner의 책을 이용해 해석
- 4번째로 많이 쓰임
-
TAT
- 하나의 인물이 등장한 모호한 내용의 그림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
- 동기의 연구에 유용함
- 로샤 검사와 차이
- 로샤: 원초적 욕구, 환성 도출
- TAT: 다양한 대인관계상의 역동적 측면 파악에 유용
- 3개 차원에서 비교
- 구조화/비구조화: 자유롭고 개인적인 반응을 허용하는가
- 위장/비위장: 자신의 바능이 어떻게 해석될 지 의식하는 정도
- 자발성/객관성: 선호를 표현하는가 or 정답을 요구하는가 투사검사: 위장, 비구조화, 자발성 자기보고 질문지: 구조화, 비위장, 자발성, 지능검사는 객관성
성격평가 방식은 성격이론과 관련
- 투사검사: 정신역동이론(무의식의 영역에 위치하는 갈등이나 욕구의 탐색)
- 자기보고질문지: 특질이론(개인이 성격차원 들로 기술, 개인의 자기보고능력인정
- 자기보고: 가치 측정, 심리측정 이론 기초, 평가/타당도, 신뢰도 높음
- 투사검사: 동기 측정, 성격의 심층적, 역동적 측면의 측정이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