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 --git a/src/guide/built-ins/suspense.md b/src/guide/built-ins/suspense.md index d46cb5e8..c2213079 100644 --- a/src/guide/built-ins/suspense.md +++ b/src/guide/built-ins/suspense.md @@ -24,7 +24,7 @@ outline: deep └─ (비동기 컴포넌트) ``` -컴포넌트 트리에는 확인할 비동기 리소스에 따라 렌더링이 달라지는 여러 중첩 컴포넌트가 있습니다. `` 가 없으면 각각 로딩/에러 및 로딩 상태를 처리해야 합니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페이지에 3개의 로딩 스피너가 표시되고 컨텐츠가 다른 시간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 트리에는 확인할 비동기 리소스에 따라 렌더링이 달라지는 여러 중첩 컴포넌트가 있습니다. `` 가 없으면 각각 로딩/에러 및 로딩 상태를 처리해야 합니다.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페이지에 3개의 로딩 스피너가 표시되고 컨텐츠가 다른 시간에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컴포넌트는 이러한 중첩된 비동기 의존성이 해결될 때까지 최상위에서 로드/에러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87,7 +87,7 @@ const posts = await res.json() 초기 렌더링 시 `` 는 기본 슬롯 컨텐츠를 메모리에 렌더링합니다. 프로세스 중에 비동기 의존성이 발생하면 **pending** 상태가 됩니다. pending 상태 동안 대체 컨텐츠가 표시됩니다. 발생한 모든 비동기 의존성이 해결되면 `` 가 **resolve** 된 상태로 들어가고 resolved된 기본 슬롯 컨텐츠가 표시됩니다. -초기 렌더링 중에 비동기 의존성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 는 직접 resolved된 상태가 됩니다. +초기 렌더링 중에 비동기 의존성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 는 곧바로 resolved된 상태가 됩니다. resolved 상태에서 `` 는 `#default` 슬롯의 루트 노드가 교체되는 경우에만 pending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트리 내부의 중첩된 새로운 비동기 의존성으로 인해 `` 가 pending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