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2
Sprint 2
KangJH(주기) edited this page Jul 8, 2022
·
1 revision
22.06.27 ~ 22.07.01
- 만두피
- 주기
- styled components, msw 등 기본 세팅
- Header UI 구현
- 카카오, 구글 로그인 구현
- 회원가입 로직
- (만두피) 기능을 추가할때 주기님이 짜놓은 코드 스타일을 보고 비교해 가면서 할수 있었던것이 좋았다 코드의 일관성과 코드 컨벤션의 중요성을 알수 있었다.
- (주기) 백로그에서 이번 스프린트에 내가 해야 할일들을 명확히 적어놓았어서 더 책임감을 가지고 이번 스프린트 안에 끝내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 (만두피) 디자이너 영입이 될뻔했다
- (만두피) 휴가 이틀때문에 생각보다 많이 지체 되었다
- (만두피) 카카오 로그인시에 카카오 서버에 토큰을 받기위해서 api를 날려야 했는데 이 api body부분에 json 형식이 아닌 QueryString 형식으로 보내줬어야 했어서 삽질을 하였다.
- (주기) PR 날리고 merge할 때 실수로 그냥 merge 해버려서 당황했다. 다시 reset해서 squash and merge했다.
- (주기) 회원가입에서 프로필 사진을 FormData로 보내야되는데, 다른 json 데이터랑 묶어서 보내려고 하니까 빈 객체로 뜨는 현상이 발생했다. 그래서 FormData 안에 각 데이터들을 append해서 보내주는 형식으로 바꿨다.
- (주기) 월, 화요일에 만두피님이 휴가 갔어서 혼자 했었어서 외로웠다,,,
- (주기) 2주차 때 직접 코드를 작성해보니 1주차에 맞춰놓았던 코딩 컨벤션을 조금 수정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원래는 모든 폴더 이름을 PascalCase로 하기로 했는데 components 폴더와 Pages 폴더 안에 있는 폴더 이름으로만 한정하기로 했다. 그리고 React 이벤트 함수(onClick 등) 같은 경우도 camelCase로 작성하기로 했다.
- (만두피, 주기) 스토리북을 배포하는걸 경험해 보았다.
- (만두피) react-query를 경험해 보았다 api fetching middle ware 느낌이다 아직 기초만 사용했지만 확실히 콜백지옥이나 비동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편해 진다.
- (만두피) 기존에 한 방법은 rest api를 이용해서 카카오 로그인 구현 이었지만 카카오 sdk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구현하였다.
- (만두피) 구글 oauth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구글 로그인을 구현하였다 기존에 react-google-login은 react 18버전을 지원해 주지 않는다.
- (주기) 로컬에서 Pages라는 폴더 이름을 pages로 바꿨는데 git이 인식을 못했다. git mv 명령어를 써서 해결할 수 있고, git config로
git config core.ignorecase false
하면 git에서 대소문자를 구분하게 된다는 걸 알았다. - (주기) git 때문에 멘탈이 나간 뒤로 살짝 익숙해졌다.
- 카카오 로그인 팝업 형식으로 바꾸기.
- 로그인시에 랜더링이 2번 되는 이유 찾기
- 404 page UI
- 로그인 회원가입창 완료
- 프로필 페이지 UI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