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oly-Etilen/opensource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9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opensource

MarkDown에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MarkDown에 대해서

다른 파일들을 살펴보면 끝에 .md라고 확장자명이 된 파일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 파일들은 MarkDown의 문법을 사용한 파일이다. MarkDown을 사용하는 이유는

  1. 문법이 쉽다.
  2. 관리가 쉽다.
  3. 지원 가능한 플랫폼과 프로그램이 다양하다.

    때문에 마크다운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4. 표준이 없어 사용자마다 문법이 상이할 수 있다.
  5. 모든 HTML 마크업을 대신하지 못한다.

라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MarkDown의 문법

제목

글을 쓰다보면 제목을 표시해야 될때가 있다.
예를 들면

제목

부터

제목

까지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표현하는 방법은 #을 이용하면 표시할 수 있다.
가장 큰 것은 '#' 1개로 표시할 수 있고, 점차 제목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의 개수는 최대 6개까지 늘어날 수 있다.

강조

글을 작성할 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강조하고 싶을 때가 있다.
예를 들면 강조 혹은 강조 처럼 글씨체를 변형해서 강조하는 방법이 있는 반면, 취고하고 싶으면 취소선 처럼 표시할 수 있다.
강조를 표시하기 위해선 '별표'내용'별표' 나 '언더바'내용'언더바'를 사용하고, 강조를 표시하기 위해선 '별별'내용'별별'이나 '언더바언더바'내용'언더바언더바'를 사용한다.
취소선을 표시하기 위해선 '물결표'내용'물결표'를 사용한다.

줄바꿈

한 내용을 모두 작성하고 나면 다른 내용으로 넘어갈 때 줄을 바꿔야 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123456789라는 문장이 있으면 한글과 숫자를 분리 하고 싶을 때에는 띄어쓰기를 2번 하거나, '<(소문자BR)>'을 입력해준다.

  1. 띄어쓰기를 두번 하는 경우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123456789

  2. '<(소문자BR)>'을 사용하는 경우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123456789

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인용문

다른 사람의 자료를 인용할 때 쓰는 문법이 있다. 사용방법은 ">"를 이용하여 인용문을 표현한다. 이때 중첩하여 쓰기가 가능하다. 중복을 하려면 ">"를 늘려나가면 된다.

첫번째 인용문

중첩된 두번째 인용문

중첩된 세번째 인용문

이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순서

앞서 내용에서 사용된 듯이 내림차순으로 번호를 매길 수 있다. 사용방법은 (숫자). 을 사용하여 적으면 된다. 이때 번호를 매겼을때에는 자동으로 줄바꿈이 일어난다.

  1. 첫번째 문장
  2. 두번째 문장
  3. 세번째 문장

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